총 이수 학점
전공: 63학점 이상
교직: 12학점 이상(강의 9학점 이상, 실습3학점)
교양: 36학점 이상
총 취득학점: 130학점
(학기당 17학점까지 신청, 직전 두 학기 평점평균 3.3이상은 21학점까지 신청가능.
단, 2007학년도 이후 졸업학점 130학점이나 학기당 취득학점은 18학점으로 상향 조정)
교양 수업 이수 학점(36학점 이상)
학문의기초(12) - 대학국어(3) / 대학영어 또는 고급영어(3) / 체육계열과목(2) 필수
핵심교양 (12) - 문학과 예술, 역사와 철학, 사회와 이념, 자연의 이해 각 영역 3학점씩
일반교양 (12) - 교육의이해(3) 필수
전공과목 이수 학점(63학점 이상)
① 교재연구 및 지도법(2과목): 국사교재 연구 및 지도법, 세계사교재 연구 및 지도법.
② 교육강독(3과목): 국사교육강독, 동양사교육강독, 서양사교육강독.
③ 기본이수 영역(5과목): 역사교육론, 한국고대사, 한국근세사, 서양고대사, 동양근대사.
④ 시대사(4과목 이상):
#한국중세사, 한국근대사, 한국현대사, #동양중세사, 동양현대사, #서양중세사, 서양근대사, #서양현대사 등.
⑤ 분류사 및 특수사(3과목 이상):
한국사적해제, #한국정치제도사, 한국사회경제사, #아시아지역사특강, 동양사상사 등.
(과목명 앞에 # 표시가 된 과목은 4-②항의 공통사회 본과 제공과목.)
⑥특강(1과목 이상): 한국사특강, 동양사특강, 서양사특강.
⑦ 연습(1과목 이상): 한국사연습, 동양사연습, 서양사연습.
⑧ ④~⑦항 중 택 2과목 추가 이수(연계전공 공통사회 및 타 학과 복수전공 이수자는 해당사항 없음. 5-②항 참조).
※ ④, ⑤, ⑥, ⑦항의 경우 분야전공 및 졸업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우선 수강할 것
(예를 들어 國史 분야의 전공논문의 경우, 국사 교과를 우선적으로 이수해야 함).
연계전공 공통사회 이수 학점(47학점)(03학번부터 적용)
① 공통사회 교육론(3), 공통사회 교재연구 및 지도법(2).
② 역사학개론(3), 한국사개론(3), 동양사개론(3), 서양사개론(3) 중 택 1.
영역별 본과 부문의 제공과목(#) 중 택 2.( ※ 본과 전공과목(3의 ④, ⑤항)과 별도 수강)
③ 정치와 사회(3), 경제와 사회(3), 문화와 사회(3), 사회와 법률(3) 중 택 1.
위 4개 과목 및 일반사회교육론(3), 사회교육과조사방법(3), 공민교육론(3), 시민경제교육과시장경제(3), 사회와인간(3), 사회과교재연구및지도법(3), 사회와철학(3) 중 택 2.
④ 자연지리학(3), 인문지리학(3), 한국지리(3), 세계지리(3), 지도학(3) 중 택 1.
위 5개 과목 및 현대사회와 지리(3), 환경과 지리(3) 중 택 2.
⑤ 3의 ①, ②항 5개 과목을 과 전공 및 공통사회 전공으로 중복 인정하여 15학점을 이수한 것으로 간주.
위 항목과 관련한 학사규정
① 총 5회 이상의 답사를 이수하여야 졸업사정 대상자가 될 수 있음.
② 연계전공 공통사회 및 타 학과 복수전공 이수자는 3-⑧항목을 적용받지 아니하여 전공학점 총 57학점 이상을 이수하는 것으로 함.
③ 당해 학기에 과 전공과목을 3과목 이상 수강하여야 장학생 선정 대상자가 될 수 있음.
④ 위 규정은 2004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함(단 4 항목은 2003년도 입학자 적용).
역사교육과 부전공 및 복수전공 이수
부전공(36학점 이상 이수)
3-①항 중 택 1(3)
3-② 항 3과목(9)
3-③항 5과목(15)
3-④항 중 택 2(6)
3-⑤, ⑥항 중 택 1(3)
복수전공(48학점 이상 이수)
3-①항 중 택 1(3)
3-② 항 3과목(9)
3-③항 5과목(15)
3-④, ⑤항 중 택 5(15)
3-⑥항 중 택 1(3)
3-⑦항 중 택 1(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