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이수 학점
전공: 65학점 이상(교과교육과목 8학점 이상, 교과내용과목(기본이수과목(분야) 21학점 이상)교직: 22학점 이상(교직이론과목 14학점 이상, 교직소양과목 4학점 이상, 교육실습과목(교육봉사 2학점, 실습 2학점)
교양: 36학점 이상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총 취득학점: 130학점
※ (사범대규정) 2007학년도 이후 졸업학점 130학점으로 동일하나, 전공학점 52학점, 학기당 취득학점은 18학점으로
상향 조정. 복수전공 52학점, 부전공 34학점.
※ (사범대규정) 2002학년도 이전 입학자 복수전공 42학점, 부전공 30학점, 2003-2006학년도 입학자 복수전공 46학점,
부전공 34학점.
※ (교육부) 주전공·복수전공 이수학점 50학점 이상(교과내용 42학점 이상, 교과교육 8학점 이상).
교과교육학에 교과교육론과 논리및논술 과목(2학점) 반드시 포함.
※ (서울대규정) 2007학년도 입학자부터 전공교과목 포함하여 3과목 이상의 외국어진행강좌 수강 의무화.
※ (서울대규정) 교육봉사(2) 교직선택
교양 수업 이수 학점(36학점 이상)
학문의기초(12) - 대학국어(3) / 대학영어 또는 고급영어(2) / 학문의 기초 2과목(6) / 체육계열과목(2) 필수※ TEPS로 영어과목 수강면제시 학문의 기초 3과목(9) 수강해야 함
핵심교양 (12) - 문학과 예술, 역사와 철학, 사회와 이념, 자연의 이해 각 영역 3학점씩
일반교양 (12)
전공과목 이수 학점(65학점 이상)
① 논리 및 논술(1과목): 역사적 사고와 논술② 교과교육(2과목 이상): 국사교재연구 및 지도법, 세계사교재연구 및 지도법
③ 교육강독(3과목): 국사교육강독, 동양사교육강독, 서양사교육강독
④ 전필과목(5과목): 역사교육론, 한국고대사, 한국근세사, 서양고대사, 동양근대사.
⑤ 시대사(4과목 이상):
#한국중세사, 한국근대사, 한국현대사, #동양중세사, 동양현대사, #서양중세사, 서양근대사, #서양현대사 등.
⑥ 분류사 및 특수사(3과목 이상):
한국사적해제, #한국정치제도사, 한국사회경제사, #아시아지역사특강, 동양사상사, 한국문화사 등.
(과목명 앞에 # 표시가 된 과목은 4-②항의 공통사회 본과 제공과목.)
⑦특강(1과목 이상): 한국사특강, 동양사특강, 서양사특강.
⑧ 연습(1과목 이상): 한국사연습, 동양사연습, 서양사연습.
⑨ ⑤~⑧항 중 택 2과목 추가 이수
※ ⑤, ⑥, ⑦, ⑧항의 경우 분야전공 및 졸업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우선 수강할 것
(예를 들어 國史 분야의 전공논문의 경우, 국사 교과를 우선적으로 이수해야 함)
※ 참고 : 교과부 지정 기본이수과목
교과명 | 이수과목명 | 비고 |
역사 History |
(1)역사교육론 (2)역사학방법론(역사학개론, 사료강독) - 본과 개설 역사학개론/강독 3과목 해당 (3)분야사(한국근현대사, 한국사회경제사, 한국사상·문화사, 한국대외교류사, 동서교류사, 사학사) - 본과 개설 한국사회경제사/한국문화사 해당 (4)한국사(한국고대사, 한국중세사, 한국근세사, 한국근대사) - 본과에서 상기과목 모두 개설 (5)세계사(동아시아 고대사, 동아시아 중세사, 동아시아 근세사, 동아시아 근대사, 서양고대사, 서양중세사, 서양근대사, 인도․동남아시아사, 서남아시아․아프리카사, 아메리카사) - 본과 개설 동양중세사/동양근대사/서양고대사/서양중세사/서양근대사 해당 (6)현대사(한국현대사, 동아시아현대사, 서양현대사, 20세기현대사, 현대세계와한국) - 본과 개설 한국현대사/동양현대사/20세기현대사/한국현대사 해당 |
(1)-(6)분야 중 각 분야에서 1과목 이상 이수 - 현재 본과 내규만 지키면 큰 문제는 없으나, (3)영역은 주의요망 |
연계전공 공통사회 이수 학점(52학점)
① "공통사회 논리 및 논술"(2), 공통사회과교육론(3), 공통사회 교재연구 및 지도법(3).② 역사학개론(3), 한국사개론(3), 동양사개론(3), 서양사개론(3), 한국문화사(3) 중 택 1
(단, 역사과는 택2). 영역별 본과 부문의 제공과목(#) 중 택 2.(※ 본과 전공과목(3의 ⑤ ? ⑥항)과 별도 수강)
③ 정치와 사회(3), 경제와 사회(3), 문화와 사회(3), 사회와 법률(3) 중 택 1.
위 4개 과목 및 일반사회교육론(3), 사회교육과조사방법(3), 공민교육론(3), 시민경제교육과시장경제(3),
사회와인간(3), 사회과교재연구및지도법(3), 사회와철학(3) 중 택 2 (단, 사회과는 택3).
④ 자연지리학(3), 인문지리학(3), 한국지리(3), 세계지리(3), 지도학(3) 중 택 1
(단, 지리과는 택2). 위 5개 과목 및 현대사회와 지리(3), 환경과 지리(3) 중 택 2.
위 5개 과목 및 현대사회와 지리(3), 환경과 지리(3) 중 택 2.
⑤ 3의 ②항(교재연구 및 지도법 2과목), ③항(교육강독 3과목)에 대해서 학과 주전공 및 공통사회
교직연합전공으로 14학점까지 중복 인정.
위 항목과 관련한 학사규정
① 총 5회 이상의 답사를 이수하여야 졸업사정 대상자가 될 수 있음.② 당해 학기에 과 전공과목을 3과목 이상 수강하여야 장학생 선정 대상자가 될 수 있음.
③ 위 규정은 2009년도 입학자부터 적용함.
역사교육과 부전공 및 복수전공 이수
부전공(36학점 이상 이수)3-②항 중 택1(3)
3-③항 3과목(9)
3-④항 5과목(15)
3-⑤항 중 택2(6)
3-⑥, ⑦항 중 택1(3)
복수전공(53학점 이상 이수)
3-①항 1과목(2)
3-②항 중 택2(6)
3-③항 3과목(9)
3-④항 5과목(15)
3-⑤항 중 택 3(9)
3-⑥항 중 택 2(6)
3-⑦항 중 택 1(3)
3-⑧항 중 택 1(3)
교직 : 22학점 이상
(교직이론 : 14학점 이상, 교직소양 : 4학점 이상, 교육실습 : 4학점 이상)
① 교직이론 - 교육학개론(필수) 을 포함하여 다음의 교직이론 과목 중 7과목 14학점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.교과목번호 | 교과목명 | 학점 |
701.101A* | 교육학개론 | 2학점 |
700.002 | 교육심리 | 2학점 |
700.003 | 교육철학 및 교육사 | 2학점 |
700.004 | 교육사회 | 2학점 |
교육과정 | 2학점 | |
교육평가 | 2학점 | |
700.006 |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| 2학점 |
700.007 |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| 2학점 |
700.001 | 상담과 생활지도의 이론과 실제 | 2학점 |
기타 | 교직이론에 대한 과목 |
교과목번호 | 교과목명 | 학점 |
701.020 |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| 2학점 |
700.021 | 교직실무 | 2학점 |
기타 | 교직소양에 관한 과목 |
교과목번호 | 교과목명 | 학점 |
701.018 | 근무교육실습 | 2학점 |
700.019 | 교육봉사 | 2학점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