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논저
저서, 번역서
-
동학사 – 새 세상을 꿈꾼 민중을 기록하다 –, 아카넷, 2024. (역서)
-
그들의 대한제국 1897~1910 – 5인의 기록으로 재구성한 있는 그대로의 대한제국사 –, 휴머니스트, 2024.
-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, 동북아역사재단, 2022. (공저)
-
대한제국과 3·1운동, 휴머니스트, 2022.
-
역사 화해를 위한 한일 대화 – 역사 편, 동북아역사재단, 2020. (공저)
-
차상찬 연구 – 일제강점기 문화운동의 선구자, 모시는사람들, 2020. (공저)
-
3.1독립만세운동과 식민지지배체제, 지식산업사, 2019. (공저)
-
한국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, 아르테, 2019. (공저)
-
어윤중과 그의 시대, 아카넷, 2018.
-
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, 서해문집, 2017.
-
이주노동자, 그들은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왔나, 아카넷, 2016.
-
연희전문학교의 학문과 동아시아 대학, 혜안, 2016. (공저)
-
역사의 현장을 찾아서,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, 2015. (공저)
-
요하문명과 고조선 : 요하·홍산 답사기행, 지식산업사, 2015. (공저)
-
국사교육의 편제와 한국근대사 탐구, 선인, 2014.
-
우리 역사, 어떻게 읽고 생각할까, 아카넷, 2014. (공저)
-
(개정 신판)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, 6-근대, 가람기획, 2013.10.
-
동아시아 개항도시의 형성과 네트워크, 글로벌콘텐츠, 2012.12. (공저)
-
새만금도시 군산의 역사와 삶, 선인, 2012.12. (공저)
-
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, 아카넷, 2012.8.
-
대한제국기 황실재정공문서 자료집, 민창사, 2012.7. (공저)
-
한국통사, 아카넷, 2012.2. (역서)
-
세상사람의 조선여행, 글항아리, 2012.2. (공저)
-
한눈에 쏙 우리역사, 드림피그, 2011.
-
해륙의 도시 군산의 과거와 미래, 선인, 2009.12. (공저)
-
고종시대 공문서 연구, 선인, 2009.11. (공저)
-
규장각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, 서울대학교출판원, 2009.8. (공저)
-
세계 속의 한국사, 태학사, 2009.6. (공저)
-
전라감영연구, 전주역사박물관, 2008.8. (공저)
-
지방사연구입문, 민속원, 2008.8. (공저)
-
고군산군도 인근 서해안지역 수산업사연구, 선인, 2008.2. (공저)
-
새로운 한국사 길잡이(하), 지식산업사, 2008.2. (공저)
-
역사 화해는 가능한가(아라이 신이치 지음), 미래M&B, 2006. (역서)
-
우리 학생들이 나아가누나 – 소학교 풍경, 조선후기에서 3·1운동까지, 서해문집, 2006.
-
근대 서해안 지역 수산업연구, 선인, 2006. (공저)
-
역사의 현장을 찾아서,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, 2005 (공저)
-
경계인을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근대 풍경, 선인, 2005. (공저)
-
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, 서해문집, 2004. (공저)
-
근대군산기사색인집(1898-1910), 인문과학연구소, 2004. (공저)
-
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인물열전, 돌베개, 2003. (공저)
-
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– 근대편, 솔, 2003.
-
서울상업사, 태학사, 2000. (공저)
-
기록보존 전문교육과정, 정부기록보존소, 1999. (공저)
-
서울상업사연구, 서울학연구소, 1998. (공저)
-
한국 근현대의 민족문제와 신국가 건설, 지식산업사, 1997. (공저)
-
농민전쟁 100년의 인식과 쟁점, 거름출판사, 1994.11. (공저)
-
한국사 10 – 중세사회의 해체 2, 한길사, 1994.1. (공저)
-
1862년 농민항쟁, 동녘, 1988.6. (공저)
논문
- 「1930년대 前半 일제의 재난 관리금 운용방식과 조선인 이주 시책 – 1934년 낙동강 유역 대홍수 대응을 중심으로 –」 歷史敎育166, 2023. 06.
-
「박은식의 한국 근대사 저술과 역사의식의 진화」 애산학보 50, 2023. 04.
-
「철도역 답사 활동과 지역사 교육의 가능성 모색」 歷史敎育164, 2022. 12. (공저)
-
「해방 후 사이비 한국통사의 탄생」 歷史敎育163, 2022. 09.
-
「한국사 서술에서 근현대 사진의 史料化 과정과 그 한계–한국사 개설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–」 서울과 역사 109, 2021. 10.
-
「수구 · 개화 이항 대립 틀의 허상 탈피–조선후기 時務改革論의 추이와 변화–」 歷史敎育157, 2021. 03.
-
「1894년 농민군 진압자의 政局 認識과 政治的 行路의 分岐–甲午軍功錄등재자를 중심으로–」 歷史敎育153, 2020. 03.
-
「2011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近代 資料의 수록 양상과 脈絡化의 실제」 歷史敎育152, 2019. 12.
-
「고종 즉위~갑오개혁 초기 개성부(開城府) 위상의 변동과 세출입(歲出入)의 추이」 역사연구37, 2019. 12.
-
「인권 사상의 역사적 기반과 전개」 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124, 2019. 12.
-
「3.1운동 만세시위 관립전문학생들의 내면세계」, 이태진, 사사가와 노리카쓰 공편, 3.1독립만세운동과 식민지지배체체, 지식산업사, 2019.
-
「3.1운동 만세시위 한국인 보통학교학생의 참가 양상과 민족의식의 성장」, 이태진, 사사가와 노리카쓰 공편, 3.1독립만세운동과 식민지지배체체, 지식산업사, 2019.
-
「해방 후~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시기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 서술의 변천: 고등학교 ‘국사’ 교과서를 중심으로」, 역사와교육학회 편, 동학농민혁명특별법과 교과서 서술, 2018.12.
-
「車相瓚의 지방사정조사와 조선문화인식 – ‘朝鮮文化의 基本調査’를 중심으로」 歷史敎育148, 2018.12.
-
「일제강점기 朴殷植의 『韓國痛史』 출간과 筆寫本의 특징」 진단학보130, 2018. 06.
-
「신증동국여지승람과 여지도서의 읍사 자료 비교 활용-전라도를 중심으로-」 규장각51, 2017.12.
-
「근대개혁기 일제강점 초기 白巖 朴殷植의 師範敎育 활동과 교재편찬」 교육연구와 실천81, 2015.07.
-
「해방 후 고등학교 ‘국사’ 교과서에서 1894년 농민전쟁 서술의 변천」 歷史敎育133, 2015.03.
-
「조선말 대한제국기 漢城府 財政構造의 변화와 歲出入의 추이」 鄕土서울87, 2014.06.
-
「일제하 언론의 在朝華僑 報道 談論과 黃色 저널리즘의 전개」 역사연구25, 2013.12.
-
「開港~日帝强占 前期(1899~1933) 群山 地域 搗精業의 推移와 地域的 特徵」 한국문화64, 2013.12.
-
「近代改革期 全國地理誌의 基調와 特徵―奎章閣 所藏 邑誌를 중심으로―」 규장각43, 2013.12.
-
「<대한국국제>의 역사적 맥락과 근대 주권국가 건설 문제」 역사연구24, 2013.6.
-
「2009 개정 역사 교육과정을 둘러싼 의사결정 구조의 난맥과 개발 과정의 허실」 歷史敎育120, 2012.12.
-
「청일전쟁 전후 일제의 전쟁 날조와 일본 언론의 선동」 歷史敎育119, 2012.9.
-
“The Popularization of National History in South Korea in the Post-Liberation Period”,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,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, 2012.6.
-
「일제하 조선 개항장 도시에서 화교의 정주화 양상과 연망의 변동」 한국학연구26, 2012.2.
-
「조선말 대한제국기 뮈텔주교의 정국인식과 대정치권 활동」 교회사연구37, 2011.12.
-
「한국 근현대 역사사진의 허실과 정리방향」 歷史敎育119, 2011.9.
-
「국사교재에서 문학작품의 활용 실태와 내용 선정의 방향」 역사와 경계77, 부산경남사학회, 2010. 12.
- 「일제강점기 小田內通敏의 朝鮮統治 인식과 ‘朝鮮部落調査’」 한국사연구151, 한국사연구회, 2010.12.
- 「日帝下 群山府 華僑의 存在形態와 活動樣相」 지방사와 지방문화13-2, 역사문화학회, 2010.11.
- 「일제하 군산부에서 주민의 이동사정과 계층분화의 양상」 한국민족문화35,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, 2009.11.
- 「역사 교과 탐구 활동과 수능문제의 상관성 강화 방안-제7차 교육과정 검정 <한국근현대사>교과서를 중심으로」 사회과학교육11, 2008.12(공저)
- 「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의 규장각 관리와 소장 자료의 활용」 규장각33, 규장각한국학연구원, 2008.12.
- 「조선말 개성부재정 보용책의 추이와 조야의 동향」 歷史敎育101, 2007.03.
- 「한국 근현대 지방 지식인 김정한의 사회운동과 터전 의식」 한국사연구135, 2006.12.
- 「대한제국기 군산 객주의 상회사 설립과 경제 사회운동」 지방사와지방문화9, 2006.05.
- 「일제강점기 군산지역 사진의 현황과 사료화 문제」 역사연구15, 2005.12.
- 「‘國史’ 명칭의 연원과 중등학교 역사교육에서 ‘국사’ 명칭」 歷史敎育71, 전국역사교사모임, 2005.12.
- 「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[국사] 교과서의서술 체계와 개선 방안–근대개혁기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」 사회과학교육8, 2005.12.
- 「한말 일제강점 초기 군산 어물시장의 변동과 객주」 수산경영론집1, 2005.06.
- 「조선후기 감영 재정체제의 성립과 변화-전라감영 재정을 중심으로」 歷史敎育89, 2004.03.
- 「신국가건설기 교과서 정책과 운용의 실제」 歷史敎育88, 2003.12.
- 「일제강점기 건축기록물의 생산과 보존」 건축47-8, 2003.08.
- 「1910년대 공진회와 일제의 정치선전(Industrial Exhibitions (‘Gongjinhoe’) and the Political Propaganda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10s)」,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3, 2002.12.
- 「한국 근대개혁기 정부의 프랑스 정책과 천주교-왕실과 뮈텔의 관계를 중심으로」 역사연구11, 2002.12.
- 「탁지부 건축소(1906-1910)의 기록물관리와 현존 기록물에 관한 연구」 건축역사연구11-3, 2002.09.
- 「1915년 경성부 물산공진회와 일제의 정치선전」 서울학연구18, 2002.03.
- 「조선말 세도정치하 지방관아 재정위기의 원인과 실제」 전농사론7, 2001.03.
- 「갑오개혁 전후 지방공문서관리의 변화」 규장각23, 서울대학교규장각, 2000.12.
- 「日帝 强占期 김옥균 추앙과 위인교육」 歷史敎育74, 2000.6.
- 「朝鮮후기 개성부 財政의 危機와 행정구역 개편」 한국사론41·42, 1999.12.
- 「朝鮮後期 邑事例의 系統과 活用」 고문서연구15, 1999.6.
- 「근대 중국·일본의 地方自治論과 韓末의 지방자치 문제」 歷史敎育64, 1997.12.
- 「朝鮮末 平安道 財政의 危機와 ‘關西例’ 시행」 사회과학연구2, 1997.12.
- 「대한제국기 법제 교정과 국제 제정」 韓國近現代의 民族問題와 新國家建設, 지식산업사, 1997.10.
- 「開港前後~大韓帝國期의 地方財政改革 硏究」,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, 1997.8.
- 「日帝 强占 初期의 奎章閣 圖書 整理 事業」 규장각18, 1996.1.
- 「甲午改革期 全國 邑事例 편찬과 ‘新定事例’의 마련」 국사관논총66, 1995.12.
- 「1910년대 前半 朝鮮總督府의 取調局·參事官室과 ‘舊慣制度調査事業’」 규장각16, 1994.1.
- 「1920·30년대 吳知泳의 활동과 <東學史> 간행」 역사연구2, 1993.1.
- 「壬辰倭亂 이후 朝鮮 國家의 再建 方向」 임진수군활동연구논총, 해군군사연구실, 1993.10.
- 「1894~1910년 地方稅制의 시행과 日帝의 租稅收奪」 한국사론26, 1991.1.
- 「역사교육과 근현대사 교육의 과제」 새교육429, 1990.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