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이미미 부교수

역사교육과

전공역사교육
주소11동 431호
연락처880-7714
이메일mimilee@snu.ac.kr

주요논저

저서, 번역서

  • 『역사교육 첫걸음 : 배움에서 가르침으로』, 책과함께, 2022. (공저)
  • 『세계는 역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』, 한울아카데미, 2018. (공저)
  • 『세계사(The History of the World)』, 까치글방, 2015. (공역)

논문

  • 「빅히스토리를 반영한 ≪세계사 프로젝트≫ 교육과정 분석 – ‘교과 간 연계’와 ‘교과에 특정한 깊이 있는 학습’은 병존할 수 있는가? -」 『역사교육논집』85, 2024. 02.
  • 「교사 교육과정 담론 속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 모색」 『교사교육연구』62(4), 2023.12. (공저)
  • 「학교현장실습학기제 운영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」 『한국교원교육연구』40(4), 2023.12. (공저)
  • 「<附錄> 《역사 만들기 프로젝트(Making Histories Project)》의 문을 열며 – 역사교육연구회와 국제학계와의 4년간의 공식적 협업, 그 첫 번째 회의 -」 『역사교육』166, 2023.6.
  • 「과거의 그림자인가, 미래를 향한 나침반인가? –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에 대한 고찰 -」 『역사비평』139, 2022.5.
  • 「내러티브와 역사교육의 만남: 왜 역사교육에서 내러티브를 논하는가?」 『내러티브와 교육연구』10(1), 2022.4.
  • 「<書評> 샘 와인버그(정종복·박선경 역), 『내 손안에 스마트폰이 있는데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?』, 휴머니스트, 2019」, 『역사교육』161, 2022.3.
  • 「역사적 사고 그리고 역사 역량 : 우리는 무엇을, 왜 추구할 것인가?」 『역사교육연구』40, 2021.7.
  • 「중학교 역사 교사의 사료 활용 양상에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 분석」 『역사교육』158, 2021.6.
  • 「Teacher Agency and Transformation at the Crossroads of a Diffused School Change Movement: An Empirical Typology of the Hyukshin Schools in South Korea」 『Journal of Educational Change』, 2021.5. (공저)
  • 「활동·사료·탐구 중심 역사 수업을 견인하는 교사 요인 탐색」 『역사교육』154, 2020.6.
  • 「Teachers’ Organization of World History in South Korea: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urriculum and Practice」 『Journal of Social Studies Research』, 2020.5. (공저)
  • 「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항 풀이 과정 분석을 통한 역사 선다형 문항 개선 방향 탐색」『교육과정평가연구』22(3), 2019.8. (공저)
  • 「초등 사회(역사 영역) 교과서 질문 현황 및 질문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 분석 연구」『역사교육연구』34, 2019.6.
  • 「역사 교사, 교재, 그리고 역사수업: 역사 교수학습 향상을 위한 교사와 교재의 관계에 대한 성찰」『역사교육』146, 2018.6.
  • 「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」 『역사교육연구』30, 2018.3. (공저)
  • 「Learning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Teacher Candidates on the Use of Emerging Technology: A Grounded Theory Approach」 『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』, 2017.12. (공저)
  • 「예비교사에게 사료란 무엇인가? : 객관성, 사실, 그리고 증거」 『역사교육』144, 2017.12. (공저)
  • 「중학교 『역사』 수업에서의 사료 활용 실태 연구」 『역사교육연구』29, 2017.11.
  • 「교사가 파악하는 역사적 중요성과 교수·학습적 중요성 – 무엇이 중요하며,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? -」 『역사교육』139, 2016.9.
  • 「초등 『사회』 교과서 어휘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」 『사회과교육』55(2), 2016.6.
  • 「초·중 사회 디지털교과서의 자료 및 기능 분석」 『사회과교육』54(4), 2015.12. (공저)
  • 「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및 기능별 구현 양상 분석 연구」 『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』15(11), 2015.11. (공저)
  • 「Exploring Korean, Indonesian, and Thai Secondary Students’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ir Voices」 『비교교육연구』25(5), 2015.11. (공저)
  • 「미국 역사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설계 및 효과 평가 사례 분석」 『역사교육연구』23, 2015.11.
  • 「중요한 역사 내용이란? : 내용 선정 기준 연구 분석 및 시사점」 『역사교육』135, 2015.9.
  • 「문·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: 4개 대학 교양교육과정 비교 연구」 『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』14(11), 2014.11.
  • 「Lesson Study Crosses the Pacific: Teacher Chang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」 『교원교육』30(4), 2014.10.
  • 「역사 속 소수자 수업,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? - 미국의 일본계 미국인 억류 사건 사례 분석 -」 『역사교육』129, 2014.3.
  • 「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」 『비교교육연구』24(1), 2014.3.
  • 「Preparing Teachers for Pedagogical Decision Making in the Context of Standards-based Reforms」 『교원교육』29(4), 2013.10.
  • 「Reforming High School History Classroom Practices – A Case Study on the Use of Curriculum Materials」 『교육문화연구』19(3), 2013.9.
  • 「미국에서의 자국사 교육 학년별 내용 조직 분석 – 캘리포니아, 미시간, 아이오와 주 사례 연구 -」 『역사교육』126, 2013.6.
  • 「미국 공통 핵심 기준 개혁 담론 속 역사 과목의 동향 분석」 『사회과교육』52(2), 2013.6.
  • 「Promoting historical thinking using the explicit reasoning text」 『Journal of Social Studies Research』37(1), 2013.1.
  • 「교사의 지식, 왜 중요한가  -역사 교사 양성과 재교육에  있어서의 지식 문제 고찰」『역사교육연구』16, 2012.11.
  • 「미국에서의 역사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그 시사점  – 캘리포니아 헤네스빌 카운티 사례를 중심으로 -」 『사회과교육』51(3), 2012.9.
  • 「Bringing Professional Development Home: From Field Study to Lesson Study」 『Social Studies Review』50(1), 2011.6. (공저)
  • 「Developing Teachers’ Ability to Make Claims about Historical Significance: A Promising Practice from a Teaching American History Grant Program」 『The History Teacher』44(3), 2011.5. (공저)